도시 곳곳에 방치된 빈 상가, 폐업한 점포들. 예전엔 활기로 가득했던 골목길이 이제는 조용한 그림자만 남긴 채 잊히고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 이런 공간들이 다시 살아나고 있습니다. 바로 ‘도시재생사업’과 ‘청년창업 공간 지원사업’이 만나면서부터입니다.
정부와 지자체는 쇠퇴한 도심을 살리기 위해 도시재생 뉴딜 정책을 꾸준히 추진해 왔습니다. 최근에는 청년층의 일자리 문제와 연계하여, 빈 점포나 유휴공간을 리모델링해 청년 창업공간으로 제공하는 사례가 많아졌습니다.
저 역시 이런 기회를 눈여겨본 창업자 중 한 명입니다.
제가 운영 중인 ‘디저트카페G’는 평택의 한 복지회관 1층, 비교적 조용한 상가 공간에서 시작했습니다. 사실 처음엔 유동인구가 많지 않아 고민도 컸지만, 배달앱을 적극 활용하고 메뉴를 차별화하면서 돌파구를 찾았죠. 지금은 배달앱 리뷰에서 만점을 유지할 정도로 고객 만족도가 높고, 지역 어르신들과 문화센터 이용자분들이 단골이 되어주셨습니다.
이 공간도 사실상 도시재생의 한 예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기존에 활용되지 않던 복지관 내 상가 공간을 리모델링하고, 지역 어르신과 연계된 시니어 디저트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자연스럽게 사람의 발길이 닿는 곳으로 바뀌었습니다.
청년 입장에서는 이런 공간을 ‘비용 부담 없이, 스토리 있게’ 시작할 수 있는 기회로 삼을 수 있습니다. 특히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임대료 지원, 리모델링 보조, 마케팅 컨설팅 등을 잘 활용하면 훨씬 안정적인 출발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강원도 정선에서는 오래된 상가 건물을 리모델링해 청년 창업자들이 공유주방과 매장을 함께 운영 중이고, 성수동이나 부산 깡통시장처럼 청년 로컬 브랜드가 들어서며 골목 자체가 브랜드가 되기도 합니다.
이런 사업에 참여하고 싶다면 지역의 도시재생지원센터,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해 정보를 얻는 것이 좋습니다. 공고는 주로 연초나 분기별로 나오며, 단순한 창업 아이템보다는 지역과의 연결성, 콘텐츠 차별성이 강조된 아이디어가 높은 평가를 받습니다.
디저트카페G도 단순한 카페가 아닌, 어르신 참여형 디저트 공방 운영, 지역 농산물을 활용한 음료, 계절별 체험프로그램 등을 더하면서 공간에 스토리를 더해가고 있습니다.
도시를 고치는 데 가장 중요한 건 사람을 다시 불러들이는 콘텐츠입니다. 창업의 꿈이 있다면, 도시의 빈 틈을 당신만의 이야기로 채워보세요. 디저트카페G처럼요.
'청년 지원의 모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대 1천만원 지원! 2025 청년상인 성공 창업 프로그램 안내" (0) | 2025.04.23 |
---|---|
“청년이라면 꼭 신청해봐야 하는 주거혜택! 청년주택 완벽정리” (0) | 2025.04.14 |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이란? 청년들에게 주어지는 기회! (0) | 2025.03.28 |
평택 청년 창업가 필수! 자금+홍보+마케팅까지 지원하는 펀딩 프로그램 (0) | 2025.03.17 |